화순
[전남 화순] 사랑나무
[전남 화순] 사랑나무
2012.05.17Panasonic LX3 090305 전남 화순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세량지 황량하다.
[전남 화순] 세량지 황량하다.
2012.05.16Panasonic LX3 090224 전남 화순 세량지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세량지의 봄_ 물안개 피어나는 아침
[전남 화순] 세량지의 봄_ 물안개 피어나는 아침
2012.05.14Canon EOS-1D Mark II N 120424 전남 화순 세량지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연둔리 둔동마을_ 아름다운 숲정이 마을
[전남 화순] 연둔리 둔동마을_ 아름다운 숲정이 마을
2012.05.13Panasonic LX3 081102 전남 화순 연둔리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남평 라이딩
[전남 화순] 남평 라이딩
2012.05.13오늘 뜬금없이 자전거가 타고 싶어졌어요.맑은 하늘이 저한테 자전거 타고 놀자고 하더군요. 자전거를 끌고 밖을 나와보니 바람이 많이 부네요.약 2시간여 탔는데 바람이 얼마나 세게 부는지 자전거 바퀴가 말을 안들을 정도였어요. 바람은 많이 불지 속도는 안 나오지 집은 가야겠지 코스 난이도는 쉬웠는데 바람때문에 엄청 힘들었네요. 코스는 진월지구 - 칠구재터널 - 세량지 - 앵남역 - 도곡온천 - 남평과 운주사 교차로- 남평읍 - 남평 검문소 - 대촌육교 - 지산교 - 효천역 - 도동마을 - 진월지구 입니다. Panasonic LX3 081027 전남 화순, 남평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세량지
[전남 화순] 세량지
2012.05.11Panasonic LX2 071223 전남 화순 세량지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아름다운 숲정이 연둔리 둔동마을
[전남 화순] 아름다운 숲정이 연둔리 둔동마을
2012.05.08canon 10d 060528 전남 화순 연둔리 둔동마을 h_ mnetv.com t_ @imnetv
[전남 화순] 한울가든_ 고등어 쌈밥
[전남 화순] 한울가든_ 고등어 쌈밥
2012.05.02[전남 화순] 한울가든_ 고등어 쌈밥 광주에는 어머니의 고등어라는 고등어 쌈밥집이 유명한 이후로 고등어 쌈밥 전문점이 많이 생겼지만고등어 쌈밥이 생각날때면 화순 도곡에 위치해 있는 한울가든을 늘 찾는다. 신선한 고등어, 매콤한 익은 김치, 따뜻한 밥상들로 어우러진 식탁은 입안 가득 침을 돌게 한다.
[전남 화순] 연둔리 숲쟁이 마을
[전남 화순] 연둔리 숲쟁이 마을
2004.06.28
[전남 화순] 화순 쌍봉사
[전남 화순] 화순 쌍봉사
2003.04.26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계당산(桂棠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신라 경문왕 때 철감선사(澈鑒禪師)가 중국에서 귀국하여 산수의 수려함을 보고 창건하였다. 철감선사의 법력과 덕망이 널리 퍼지자 왕이 궁중으로 불러 스승으로 삼았다고 하며, 창건주 철감선사의 도호(道號)가 쌍봉이었으므로 사찰명을 쌍봉사라 하였다고 한다. 847년(문성왕 9)에 귀국한 철감선사는 이 절에서 선문9산의 하나인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이곳에서 그의 종풍(宗風)을 이어받은 징효(澄曉)가 영월의 흥녕사(興寧寺)에서 사자산문을 개산(開山)하게 되었다. 창건 이후 퇴락한 절을 1081년(문종 35)에 혜소국사(慧昭國師)가 창건 당시의 모습대로 중건하였고, 공..
[전남 화순] 운주사
[전남 화순] 운주사
2002.11.02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용강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 내용 면적 49만7088㎡. 사적 제312호. 지정면적 497,090㎡. 나지막한 야산협곡의 분지에 위치한 운주사지에는 반경 200m 범위내에 석불 70여 구와 석탑 12기가 유존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 도선(道詵)이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千佛千塔)을 쌓았다고 전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사료는 없고,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능성현조(綾城縣條)에 “雲住寺在千佛山寺之左右山背石佛塔各一千……(운주사재천불산사지좌우산배석불탑각1천……)”이라는 내용이 보인다. 또, 1632년(인조 10)의 ≪능주목지 綾州牧誌≫에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보이고 있는데, 후미의 “雲住寺今廢(운주사금폐)”라는 기록으로 보아 1632년 이전에 한 차례 폐찰되었던 것 같다...
[전남 화순] 운주사